달삼촌
객체지향 이해하기 : 사물을 보는 방법 본문
반응형
객체지향 사물의 분류
-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것은 곧 사물(Things)이다. 이것은 곧 객체이다.
- 일반적인 사물에는 형태를 가진 것이다.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적용하려면 개념만 존재하는 것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.
- 소프트웨어 방법론에 따라 분석 설계 구현을 한다는 것은 실세계의 사물을 가상세계의 사물로 전환 하는 것이다.
- 그래서 분석설계를 위한 객체 모델링, 데이터 모델링도 다 사물들을 관리하는 기준에 맞춰 분류하는 것이다.
- 이 사물들이 실세계에 맞는 개념을 잘 정리가 필요하다.
- 각 프로그램 언어에 맞는 타입, 클래스는 객체 즉 사물을 분류했을 때 정의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.
사물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?
- 책을 예시로 보면 책은 객체이다. 책에 대한 정보만 관리하는 것은 개념 객체이고 책의 실물을 관리하는 사물을 관리하는 객체가 구별되어 관리되어야 한다.
- 책이라는 객체가 책 정보에 대한 분류 기준으로 도서문헌상의 분류 규칙을 따르므로 다양한 분류체계를 관리하는 객체도 발생할 수 있다.
- 사물은 단순이 존재한다고 하나의 객체만은 아니다.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개념 사물이 만들어진다.
- 사물을 보는 방법은 비즈니스적으로 차이가 있으므로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가 많이 필요하다.
예전에 작성해서 정리한 내용 참조
반응형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메서드 오버로딩 하는 방법 (0) | 2023.06.06 |
---|---|
식별자 스코프 및 스코프별 관리 규칙 (0) | 2023.06.06 |
파이썬은 이름(name)과 값(value)으로 구성 관리 (0) | 2023.06.04 |